Get Mystery Box with random crypto!

* 하나증권 미래산업팀(스몰캡) ★ 비상장 시리즈 #10: 위츠(비상 | 하나 미래산업팀(스몰캡)

* 하나증권 미래산업팀(스몰캡)

★ 비상장 시리즈 #10: 위츠(비상장): 무선충전 선도기업, 이제는 전기차까지 ★

원문링크: https://bit.ly/4289jRF

1. 무선충전기기 및 소재 제조 전문 업체
-코스닥 상장사 켐트로닉스(089010.KQ)의 자회사로, 2019년 4월 켐트로닉스가 삼성전기로부터 모바일용 무선전력전송 사업과 근거리무선통신(NFC) 칩코일 사업 인수
-과거 송신용(Tx) 무선충전 사업을 주력으로 담당했던 켐트로닉스는 삼성전기의 사업 인수 이후 수신(Rx) 분야까지 확장 가능하게 되었으며 현재 모바일용 무선충전 관련 송수신 사업은 자회사인 위츠에서 일괄적으로 담당
-무선전력전송 솔루션을 기반으로 스마트폰의 무선전력 송수신 안테나 모듈, 무선충전기 패드의 안테나 모듈, 무선충전 SET 등을 생산하여 고객사 삼성전자 향으로 납품
-2024년 하반기 신규 상장 IPO를 추진 중이며 상장을 통해 확보된 자금은 전기차, 가정용 전자제품 충전기 사업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
-2022년 연간 연결 실적은 매출액 1,012억원(+90.6%, YoY), 영업이익 57억원(+487.6%, YoY)를 시현

2. 무선충전 시장 확대에 따른 주목 포인트
-현재 무선충전 기능이 지원되는 플래그십 모델인 갤럭시S 시리즈를 비롯해 갤럭시Z 폴드, 갤럭시Z 플립 등에 동사의 충전 모듈이 적용
-고객사의 제품 모델 특성에 따라 점유율 변화는 존재하지만, 현재 삼성전자 향 무선충전솔루션을 공급하는 업체들 중 동사는 Tier 1에 해당
-모회사 켐트로닉스에서 삼성전기 무선충전 사업부를 매입한 당시 관련 특허 약 700개도 같이 인수하였기에 위츠는 경쟁사 대비 기술적인 경쟁력을 확보한 것으로 판단
-고객사 내 무선충전 모델 출시에 따라 동사가 납품가능한 제품군은 향후 더욱 다양해질 전망
-2022년 연간 기준 삼성전자 스마트폰 글로벌 출하량은 약 2억 5,800만대이며 중저가 스마트폰에 해당하는 갤럭시A 시리즈는 약 절반 이상의 높은 비중을 차지
-향후 고객사에서 갤럭시A 시리즈에도 무선충전 기능을 도입할 경우 동사의 외형 확대에 우호적인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판단
-추가적으로 SMAPP(Samsung Mobile Application Partnership Program: 삼성 모바일 액세서리 파트너십 프로그램)을 통해 무선충전기 Set 향 제품도 기존 고객사와 일반 유통사에도 공급
-주방기구 등의 가전용 전자제품에도 무선충전 방식의 도입이 가시화되고 있으며 동사는 로봇 청소기용 무선충전 쪽으로도 사업 다각화를 추진 중

3. MOU를 통한 차세대 무선충전기술 개발 본격화, 전기차 시장 진출 진행 중
-최근 팹리스 업체인 스카이칩스와 ‘차세대 무선충전 기술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MOU를 체결
-위츠와 스카이칩스가 공동 개발 중인 기술은 ‘지능형 빔포밍(Beamforming) 기반의 무선충전방식’
-지능형 빔포밍 기술은 기기가 충전패드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아도 충전이 가능하기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켜주는 장점
-나아가 AI 기술이 결합될 경우 연동된 기기의 위치 데이터를 스스로 학습하여 이를 기반으로 한 최적화된 무선충전방식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는 곧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술과 연결
-동사가 개발 및 상용화를 성공 시, 기업가치 상승의 성장동력이 될 것으로 판단
-지난 5월 19일 동사는 전기차 무선충전 실증과 상용화를 위해 GS커넥트, KG모빌리티와 함께 ‘전기차 무선충전 사업협력’에 관한 MOU를 체결
-전기차 충전소 사업은 충전기 제조업체/충전기 운영업체/전기차 업체로 크게 3개의 주체가 참여
-금번 위츠의 MOU에서는 GS커넥트가 CPO사업자, KG모빌리티가 전기차 업체, 그리고 동사가 무선충전모듈(VA) 제조 등의 역할을 담당할 것
-위츠는 현재 무선충전모듈(VA)과 무선충전단말기(GA)와 관련된 기술은 개발을 모두 완료한 상황이며, 향후 KG모빌리티와 함께 전기차 무선충전 관련된 협업을 통해 품질 평가를 진행할 전망
-품질 검증이 성공이 마무리될 경우 내년부터는 전기차에 동사의 무선충전모듈 및 단말기가 적용되어 양산이 기대
-기존에는 모바일, 웨어러블 등의 일반 IT 기기향 매출 비중이 높았으나, 향후 전장향 매출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

하나증권 미래산업팀(스몰캡) 텔레그램 주소: https://t.me/hanasmallcap

하나증권 미래산업팀(스몰캡) 드림

* 위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