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t Mystery Box with random crypto!

하나 미래산업팀(스몰캡)

Logo saluran telegram hanasmallcap — 하나 미래산업팀(스몰캡)
Logo saluran telegram hanasmallcap — 하나 미래산업팀(스몰캡)
Alamat saluran: @hanasmallcap
Kategori: Ekonomi
Bahasa: Bahasa Indonesia
Pelanggan: 14.36K
Deskripsi dari saluran

하나증권 미래산업팀 리포트 요약, 각종 행사에 공식 알림방입니다!
모든 컨텐츠는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한 것으로 채워질 예정입니다!
지속적인 격려 부탁드립니다^^

Ratings & Reviews

3.33

3 reviews

Reviews can be left only by registered users. All reviews are moderated by admins.

5 stars

1

4 stars

0

3 stars

1

2 stars

1

1 stars

0


Pesan-pesan terbaru 4

2023-03-26 12:41:12 * 하나증권 미래산업팀(스몰캡)

★ 이녹스(088390.KQ): 실리콘 음극재 시장 개화, 자회사 티알에스 성장은 지금부터 ★

원문링크: https://bit.ly/40j43KE

1. 2차전지 소재 지주사로 변모중
-이녹스는 레저부문인 알톤스포츠(46.6%), 투자회사인 아이베스트(100%), 2차전지 음극재용 원재료를 생산하는 티알에스(63.8%)를 종속회사로 두고 있는 지주사, 관계사 이녹스첨단소재 지분 25.0% 보유
-2023년부터 소재부문인 티알에스의 실리콘 파우더 매출 확대에 따라 2차전지 소재 지주사로서 밸류에이션 확장 가능할 전망

2. 자회사 티알에스 실리콘 파우더 매출 성장에 주목
-티알에스는 국내 나노 단위의 실리콘 파우더 양산에 성공한 유일 업체, 고순도 500nm(나노미터) 스펙의 실리콘 음극재 사용에 최적화된 제품을 제조
-중국 제품 대비 우수한 물성 및 품질을 인정받아 작년 글로벌 2차전지 제조사 P사 향으로 실리콘 파우더 양산 시작, 국내 D사에도 SIO 계열 실리콘 파우더 납품중
-실리콘 음극재 시장은 SIOx/SiC 계열이 주도, 티알에스는 두 타입의 원재료 생산 기술을 모두 내재화한 국내 유일 업체로 향후 고객사 확대 지속 전망
-생산능력은 22년 1,200톤>23년 2,400톤>24년 3,800톤>25년 7,500톤으로 확대 전망, 예상 매출액 23년 200억원>24년 500억원>25년 1,100억원으로 전망
-전방 실리콘 음극재 업체들의 가파른 증설 속도에 따라 티알에스의 원재료 수요 급증 예상

3. 2023년 매출액 972억원, 영업이익 255억원 전망
-2023년 매출액 972억원(+20.9%, YoY), 영업이익 255억원(+17.7%, YoY)으로 전망
-주목해야할 점은 소재부문(티알에스)의 매출 성장, 2023년 티알에스 매출액은 203억원(+322.6%, YoY)으로 전년 48억원 대비 큰 폭의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
-실리콘 음극재 시장 본격 개화에 따라 2024년은 티알에스 매출액 500억원을 넘어서는 원년이 될 것으로 예상
-레저부문(알톤스포츠)매출은 전기자전거 보급 확대에 따라 매출액 568억원(+10.7%, YoY)으로 전망

하나증권 미래산업팀(스몰캡) 텔레그램 주소: https://t.me/hanasmallcap

하나증권 미래산업팀(스몰캡) 드림

* 위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9.4K views09:41
Buka / Bagaimana
2023-03-26 11:20:31 * 하나증권 미래산업팀(스몰캡)

★ 하이딥(365590.KQ): 결국 기술력이 핵심, Stylus 기반 적용 기기 확대가 기대되는 상황 ★

원문링크: https://bit.ly/3FS2cUV

1. Touch IC와 Stylus IC를 제공하는 팹리스 기업
-하이딥은 UX/UI를 개발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팹리스 회사로 IT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차세대 Touch 솔루션과 Stylus 솔루션 기술을 개발
-2021년 세계 최초로 On-Cell Flexible OLED 디스플레이에 적용 가능한 Touch IC를 개발해 국내 고객사의 스마트워치 최신 모델에 독점 공급
-주목할 부분은 동사가 개발을 완료한 Touch&Stylus 솔루션, Touch와 Stylus를 동시에 인식하는 통합 솔루션으로 스마트폰을 넘어 각 종 OLED 기기 모두를 전방 시장으로 확보 가능
-동사의 주요 매출처가 스마트워치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등으로 적용 확대가 가능
-동사의 Touch&Stylus 솔루션은 올해 고객사의 신규 스마트폰 모델에 채택이 기대되는 상황
-스마트폰 출하량을 감안했을 때 채택이 가시화된다면 폭발적인 성장이 가능하며, 밸류에이션이 크게 확장될 가능성 존재

2. 혁신적인 Touch&Stylus 솔루션 적용 확대 전망
-스마트폰에 적용되는 기존 Touch는 정전기를 인식하는 방식이며, Stylus는 전자기장을 인식하는 방식으로 추가적인 센서 패널이 필요
-두 센서들을 통합한다면 패널 탑재 수를 줄여 고객사에게 공정 간소화 및 원가 절감의 효과를 제공
-동사는 다른 방식으로 작동하는 두 센서를 통합하는 솔루션을 개발
-따라서 고객사는 1) 더 얇은 두께와 가벼운 무게를 가진 디스플레이 구현이 가능하며, 2) 센서 패널 탑재를 줄여 생산 단가 절감이 가능
-동사의 고객사가 채택하고 있는 EMR(전자기 공명식)의 경우 사용될 IT 디스플레이에 별도의 센서 필름이 필요한데 동사의 기술은 배터리와 별도의 센서 필름이 필요 없고, 전자기장으로 인식하는 방식을 유지하기 때문에 동사의 솔루션을 탑재한 모든 기기에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
-동사의 솔루션이 가진 이점이 확실한 만큼 Stylus 기능을 도입하려는 고객사 입장에서 제품의 국산화는 물론, 비용 절감 측면에서 동사의 솔루션 도입을 적극 추진할 것으로 기대

3. Touch&Stylus 솔루션의 중화권 추가 고객사 기대감 존재
-Touch&Stylus 솔루션은 추가적으로 중화권 업체로까지 침투될 가능성도 높다고 예상
-동사는 2015년 Lenovo에 Stylus 솔루션, Huawei에 3D Force Touch 솔루션을 적용해 양산한 레퍼런스가 존재
-따라서 Touch&Stylus 솔루션은 얇은 디스플레이 구현과 생산 비용 절감이 가능한 장점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레퍼런스가 존재하는 기업은 물론 추가적인 고객사 확보까지 기대해볼 수 있는 상황
-결론적으로 스마트워치에만 국한되어 있던 동사의 솔루션이 다양한 IT기기 적용 확대, 추가적인 고객사 확보 가능성까지 상존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주목이 필요한 시점

하나증권 미래산업팀(스몰캡) 텔레그램 주소: https://t.me/hanasmallcap

하나증권 미래산업팀(스몰캡) 드림

* 위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6.3K views08:20
Buka / Bagaimana
2023-03-19 14:42:19 * 하나증권 미래산업팀(스몰캡)

★ 석경에이티(357550.KQ): 황화물계 단점을 보완한 혁신적인 전고체 전해질 개발 ★

원문링크: https://bit.ly/3yInYXt

1. 독자적 나노 기술력을 통한 전고체 전해질 개발 완료
-석경에이티는 새로운 리튬이온 전고체 전해질 개발 완료
-2017년부터 자체 개발한 이번 전고체 전해질은 붕화물계인 ‘Boracite’ 결정구조
-석경에이티가 원천 기술을 확보한 ‘Boracite’는
1) 전고체 전해질이 목표하는 액체 전해질 이온전도도보다 높은 수치를 기록했으며,
2) 황화물계 원료 대비 원재료 비용이 약 30% 낮고
3) 황화물계 전고체 전해질의 단점으로 뽑히는 유해 성분인 황화수소 등 유해 화합물이 발생하지 않아 드라이룸과 같은 대규모 설비 투자가 필요하지 않아 초기 투입 비용도 낮음
-이번 개발의 핵심은 석경에이티가 보유한 있는 나노 기술로 크기 및 입자형상 제어기술과 합성 기술을 통해 전도성, 생산성, 안정성이 높은 것은 물론 기존 소재의 한계점을 타파했으며, 올해부터 양산 준비를 시작할 예정
-기존 사업들과 더불어 이차전지 사업이 시작되는 시발점

2. 또 하나의 모멘텀, 전고체 전해질 도전제
-추가로 석경에이티는 전고체 전해질 리튬 이온전도도를 높이기 위한 도전재를 주요 기업과 공동 개발 진행 중
-전고체 배터리의 입자와 입자 사이 공간이 불규칙해 계면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한 도전재로 올해 증설할 제 3공장에 전고체 전해질과 함께 전해질 도전재 또한 양산 라인을 갖출 예정
-제3 공장 증설은 올해 하반기부터 본격화될 예정이며, 증설을 통해 생산 가능 CAPA는 제1, 2공장 대비 최대 5배 늘어날 전망
-2024년 하반기부터 본격 가동할 전망이며, 이를 통해 전고체향 매출은 빠르면 2024년 하반기부터 반영될 예정
-전고체 배터리는 빠르면 2027년부터 상용화될 예정이지만, 연구 개발을 위한 전해질 수요는 이미 높은 상태
-포스코그룹, 삼성SDI, 에코프로비엠 등에서 고체 전해질 생산 라인을 갖추려는 이유 또한 같은 맥락
-황화물계 단점을 보완한 혁신적인 전고체 전해질 개발 및 양산화를 준비하는 석경에이티를 주목해야 하는 이유

3. 2023년 매출액 194억원, 영업이익 78억원 전망
-석경에이티의 예상 실적은 2023년 매출액 194억원(+57.1% YoY), 영업이익 78억원(+65.6% YoY)을 전망
-나노 기술 기반 제품을 통해 고부가가치 제품 매출이 증가하고 있으며, 다가오는 전고체 배터리 시대에 차세대 이차전지 소재 시장 진입을 통한 전고체 전해질 시장 선점이 기대

하나증권 미래산업팀(스몰캡) 텔레그램 주소: https://t.me/hanasmallcap

하나증권 미래산업팀(스몰캡) 드림

* 위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8.2K views11:42
Buka / Bagaimana
2023-03-19 07:13:07 * 하나증권 미래산업팀(스몰캡)

★ 신성델타테크(065350.KQ): 가속화될 2차전지 사업부 성장, 기대되는 로봇 EMS ★

원문링크: https://bit.ly/3LxYhAo

1. EMS 및 2차전지 부품 제조 기업
- 신성델타테크는 1987년 설립된 사출 및 금형 전문 기업으로가전기기 및 2차전지 부품 제조 사업을 영위
- LG전자 가전사업의 탑티어 EMS(Electronics Manufacturing Services) 업체로 성장했으며 폴란드 생산 법인을 통해 LG에너지솔루션 향 2차전지(BA) 부품 제조 사업 확대하며 외형 성장 시현
- 2023년에는 1) 가전 수요 개선에 힘입은 HA사업부의 안정적 매출, 2) 2차전지(BA) 사업의 확대, 3) 물류(SCM) 고객사 확대, 4) 로봇 EMS 신사업을 통한 외형 성장 예상

2. 주목해야할 2차전지 사업과 로봇 EMS
- 2018년 폴란드 생산 법인(자회사 신성오토모티브 50%, 신성에스티 50% 출자) 설립 이후 2차전지 부품(배터리 케이스, 부스바, 방열판 등) 매출 가속화중, 2019년 불과 430억원 수준인 BA사업부 매출은 2020-22F 871억원>2,244억원>2,400억원 수준으로 가파른 성장 시현
- 작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배터리 부품 재고 소진이 완료된 것으로 보이며 올해는 고객사의 차종 확대에 따라 3,278억원(+32.1%, YoY)으로 큰 폭의 BA사업 매출 성장 예상
- 작년 11월 로봇사업부를 신설하며 로봇 EMS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는 상황, EMS 사업 특성상 주요 모멘텀은 신규 아이템 확대인데, 동사는 LG전자의 로봇청소기 양산을 시작으로 로봇 EMS 신성장 동력을 갖출 전망
- 현대차그룹의 스타트업 ‘모빈’과의 협업을 통해 자율주행 배송로봇 제작 및 개발에 참여하며, 생활가전, 의료, 헬스케어, 자율주행 분야의 다양한 서비스용 로봇 성장이 예상되는 가운데 초기 양산 레퍼런스를 가진 업체에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

3. 2023년 매출액 9,389억원, 영업이익 460억원 전망
- 2023년 매출액 9,389억원(+18.9%, YoY), 영업이익 460억원(+45.7%, YoY)으로 전망
- 1) 기존 가전 사업 회복, 2) 2차전지 부품 재고 소진에 따른 매출 성장, 3) 물동량 증가에 따른 SCM 사업 확대에 기인

하나증권 미래산업팀(스몰캡) 텔레그램 주소: https://t.me/hanasmallcap

하나증권 미래산업팀(스몰캡) 드림

* 위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7.3K views04:13
Buka / Bagaimana
2023-03-14 16:38:02 * 하나증권 미래산업팀(스몰캡)

★ 에코앤드림(101360.KQ): CRMA 발표 임박, 2차전지 전구체 매출 본격화 기대 ★

원문링크: https://bit.ly/3ZK5TUB

1. CRMA가 열어줄 전구체 르네상스
-CRMA(유럽 핵심원자재법)은 중요 광물 원자재에 대한 수입 의존도를 낮추고 유럽 내 공급망을 강화하겠다는 EU의 의지가 반영된 정책
-따라서 배터리 셀 원가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양극재(45%)의 유럽 생산이 필요한 상황이며, 유럽 대표 양극재 업체인 유미코아의 폴란드 공장 증설은 이를 사전에 인지한 움직임으로 판단
-폴란드 공장 CAPA는 23년 20GWh → 24년 40GWh로 확대 전망이며, 전사 기준 22년 65GWh → 30년 560GWh(폭스바겐 JV 포함)로 증설계획을 제시
-이러한 상황에서 양극재 원가의 60%를 차지하는 전구체의 중요성이 부각될 전망
-유미코아는 전구체 물량 상당분을 중국(글로벌 점유율 70%)에서 조달하였으나 CRMA를 통한 공급망이 재편된다면 유미코아와 전구체 공동 개발 및 CAPA 증설을 진행 중인 에코앤드림의 지속적인 수혜가 예상

2. 2025년 전구체 매출 5,000억원이 보인다!
-동사는 22년 1월 유미코아와 5년간 차세대 양극재를 공동개발 JDA를 체결하고 관련 제품을 독점 공급하기로 합의
-이에 에코앤드림의 신규사업인 전구체 매출 성장은 명확해지는 중
-특히 2차전지 내 하이니켈 비중이 높아질수록 밀도 상승을 위해 소입경 전구체에 대한 수요가 올라가는데 5㎛ 이하 소입경 전구체 대량생산은 동사가 국내에서 유일
-현재 5천톤 규모의 CAPA 완공 및 시운전 완료하였으며 제2공장 2만톤 추가 증설 중으로 2025년 2.5만톤 이상의 CAPA가 가능할 전망
-전구체 판가 2만원/kg 기준 2025년 연 환산 매출액은 5,000억원 수준으로 급성장할 것으로 판단
-또한 유미코아에서도 공격적인 양극재 증설을 추진 중이며, 공급망 다변화가 요구될수록 중국 편중 조달에서 벗어나 동사 전구체에 대한 수요가 더욱 커질 것으로 기대

3. 2023년 매출액 1,351억원, 영업이익 108억원 전망
-에코앤드림의 2023년 실적은 매출액 1,351억원(+123.3%, YoY), 영업이익 108억원(+201.2%, YoY)으로 예상
-기존 촉매 사업은 전년과 동일하게 견조한 Cash Cow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되며, 2023년 하반기 공장 가동으로 2차전지 전구체 실적 반영이 시작되는 가운데, 향후 고객사 증설과 CRMA 수혜가 지속될 전망

하나증권 미래산업팀(스몰캡) 텔레그램 주소: https://t.me/hanasmallcap


하나증권 미래산업팀(스몰캡) 드림


* 위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17.5K views13:38
Buka / Bagaimana
2023-03-12 14:16:18 * 하나증권 미래산업팀(스몰캡)

★ 케이피에스(256940.KQ): 가장 저평가된 폐배터리 기업, 4월부터 실적 반영 ★

원문링크: https://bit.ly/3Je1iD0

1. 세기리텍 인수로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산업 본격 진출
-2023년 3월 케이피에스가 세기리텍 인수 대금을 모두 납입하면서 세기리텍을 100% 자회사로 편입
-세기리텍은 주로 납축전지 폐배터리를 순연 및 합금연으로 재활용하는 기업으로 비철금속 제련 기술력을 확보
-동사는 높은 수준의 공정 설비와 기술력, 판매 네트워크를 갖춘 업체이며, 폐배터리 사업을 영위하기 위한 허가를 모두 받아둔 상태로 추후 납축전지 외의 폐배터리 사업으로의 확장성이 기대
-2021년 기준 세기리텍의 매출액은 884억원

2. 탄탄한 사업을 바탕으로 리튬 전지 재활용 사업 진출 기대
-세기리텍은 현재 납축전지를 전문으로 다루는 재활용 기업이지만 향후 리튬 전지 재활용으로의 확장이 유력하다고 판단
-1) 동사는 폐배터리 파쇄, 열처리하는 전처리 공정에 대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2) 확보하지 못한 리튬 전지 전/후처리 공정 기술들은 지질자원연구원과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확보해 올해 안에 구체화할 것으로 예상
-기술 확보 이후에는 기존 비철금속을 다뤘던 만큼 빠르게 수율을 끌어올릴 것으로 판단
-현재 진행하는 납축전지 사업은 올해 CAPA 확대에 따른 매출 성장이 기대
-회전로 2기가 설치된 동사의 CAPA는 연간 납축전지 약 70,000톤이며, 매출액 기준 약 800~1,000억원 수준
-회전로를 증설하기 위해서는 허가가 필요한데 1기 증설에 대한 허가를 받아둔 상태로 확인되며 올해 CAPA는 약 105,000톤으로 증가해 매출액 약 1,200~1,500억원 수준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

3. 2023년 매출액 891억원, 영업이익 46억원 전망
-세기리텍이 올해 2분기부터 연결로 반영되는 만큼 2023년 매출액 891억원(+695.5% YoY), 영업이익 46억원(흑자전환 YoY)을 전망
-동사의 본격적인 성장은 2024년으로 예상되는데 1) 리튬 전지 리사이클링 전/후처리 공정 기술 확보에 따른 사업 진출, 2) 세기리텍의 CAPA 확장에 따른 매출 확대, 3) 중화권 향 FMM 장비 수주 전망에 따른 기대가 존재하는 만큼 빠른 속도의 매출 확대가 전망

하나증권 미래산업팀(스몰캡) 텔레그램 주소: https://t.me/hanasmallcap

하나증권 미래산업팀(스몰캡) 드림

* 위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7.9K views11:16
Buka / Bagaimana